시쭈 혹은 시츄라고 불리며, 이름의 유래는 사자이다. 현대 중국에서는 진짜 사자와의 혼동을 막기 위해 중국의 옛 미녀 서시에서 이름을 딴 서시견(시스취안)으로 불린다. 이명인 사자견(스쯔취안)이 있긴 하나 사자 구로는 더 이상 불리지 않으니, 중국 사람들에게 스쯔 거우라고 말해봤자 잘 못 알아듣는다. 한자까지 보여줘야 대충 의미 파악이 가능할 정도이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본디 중국 개다. 중국 황실을 위해 티벳의 라사압소를 들여와 페키니즈와 교배시켜 오랜 세월에 걸쳐 만들어낸 견종이라는 게 일반적인 설이다. 페키니즈 문서를 보면 이미 피키니즈 때부터도 황실 전용견으로 키우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굳이 시추를 따로 제작한 이유는 페키니즈보다도 사자에 더욱 흡사하게 생긴 견종을 키우고 싶어서 그랬다는 설이 유력하다.
좋은 품종은 아름답고 긴 황금색의 가까운 갈색과 흰색 털이 나 있다. 다른 견종과 다르게 시추는 순종에 정해진 색이 없다. 한국에서는 골드 앤화이트나 파티 컬러가 많이 눈에 띈다. 하지만 완전히 검은색으로 된 시추나 전체가 황금색이고 얼굴 부분만 검은색인 것들 혹은 몸 전체가 흰색인 시추도 있다. 또 회색 흑은 와인색, 갈색 등이 섞인 시추도 있어 색사에 있어서 다른 견종에 비해 매우 다양하다.
시츄의 성격
성격은 모든 견종 중에서 가장 온순한 편이다. 대중적인 견종 중에서 가장 공격성이 낮으며 가장 덜 짖는 견종으로 알려져 있다. 기츄의 이런 온순한 성격은 단지 개들 중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 아니라, 아예 개와는 다른 종의 생물이라 봐야 할 정도다, 다른 개와 피가 섞인 경우가 아니라면 보통의 경우 공격성이 거의 없다시피 할 정도다. 게다가 시츄는 다른 개들과 달리 요구성 짖음도 사실상 없다. 분리불안 증상 또한 거의 없다시피 하다. 모든 애견훈련사들이 한결같이 말하는 것이 시츄는 가장 의뢰가 덜 들어오는 견종이라고 말한다. 세상에 나쁜 개는 없다 같은 문제견 프로그램에서도 가장 드물게 등장하는 편이다. 성격적인 장점 이외에도 장모종 치고 털이 잘 안 빠진다는 장점도 있다. 푸들처럼 전혀 안 빠지는 수준은 아니지만 푸들 같은 별종을 제외하면 장모종 중에서는 털 빠짐이 매우 적은 편이라고 알려져 있다. 또 시츄만 그런 건 아니지만 전형적인 개처럼 주둥이가 튀어나오지 않아서 사람처럼 더 정이 간다고도 한다. 이처럼 시츄는 개의 탈을 쓰고 있지만 보통의 개달과는 다른 별종의 동물에 가까우며, 아래에 언급된 배변 관련 문제를 제외하면 가정에서 키우기에 시츄만큼 좋은 견종도 없다. 시츄는 타고난 표정이 어리바리할 뿐 생각보다 눈치가 빠르고 영리한 개다.
시츄의 배변훈련
시츄는 우리나라에서 키우는 숫자 대비 가장 많이 유기되는 경종이다. 시츄는 고집이 황소고집이라 훈련이 매우 힘든 것으로 악명이 높다. 특별히 어려운 훈련도 아니고 가장 기초적인 배변 훈련조차 안 먹히기로 악명이 높다. 신분증으로도 악명 높다. 둘 다 평생 고쳐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알반적인 애완 견종들의 양육법으로 감당이 안 되는 경우가 많다. 게다가 시츄는 주인에게는 이게 도대체 개가 맞나 싶을 정도로 애교나 정이 없고 주인을 소 닭 보듯이 대하지만, 반면 처음 보는 낯선 사람에게는 좋아 미치겠다는 리액션을 보임으로써 주인의 마음에 깊은 배신감과 상처를 준다.
시츄가 겁이 많기 떄문에 주인의 훈육하면서 혼내면 주인 자체를 두려워하기 때문에 훈련 자체가 먹히지 않는 것이며, 때문에 혼을 내지 말고 칭찬을 해서 훈련을 시켜야 한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결론적으로 시츄는 혼내는 것보다 칭찬을 해줘야 그나마 훈련이 먹히는 것은 사실이다.
'동물관련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뿔소의 크기와 위험성 (0) | 2021.07.23 |
---|---|
늑대 길들이는 방법과 천적 (0) | 2021.07.22 |
팬더 성격과 유지비용 (0) | 2021.07.20 |
대한민국 멸종위기 동물 종류 (0) | 2021.07.19 |
육지거북 수명와 특징 (0) | 2021.07.18 |
댓글